네트워크

TCP와 UDP개념정리 (UDP 편)

GearDeveloper 2024. 8. 28. 01:13
안녕하세요, 오늘은 네트워크의 기본 중 하나인 UDP와 관련된 개념에 대해 배워보겠습니다. 이 글을 통해 UDP의 작동 방식과 특징을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UDP

  • UDP란 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콜(User Datagram Protocol)로 시간에 민감한 비디오 또는 DNS 조회 같은 전송 속도를 위한 프로토콜입니다.
  • UDP 경우 데이터가 전송되기 전에는 공식적으로 연결이 설정되지 않으므로 통신 속도가 빨라집니다.

UDP의 특징

  1. TCP의 3-Wayhandshake, 4-Wayhandshake 연결 같은 데이터 수신 여부를 확인하지 않습니다.
  2. UDP의 연결 구조가 단순하여 전송 속도에 최적화 되어 있습니다.
  3. 연결 구조가 단순하여 흐름 제어가 없어 반대로 비신뢰성의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4. 1:1 & 1:N & N:N 통신이 가능합니다.
  5. 비연결형 서비스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하여 해당 패킷의 순서가 바뀔 수도 있습니다.

UDP의 구조 

UDP의 구조는 TCP와 달리 구조가 비교적 매우 단순합니다.

  • Source Port     
    해당 패킷을 생성한 송신자 측 포트입니다.     
  • Destination Port
    해당 패킷을 받는 수신자 측 포트입니다.  
  • Length
     UDP헤더와 데어터를 포함한 전체 길이입니다. 해당 데이터의 단위는 Byte 단위 입니다.
  • Checksum
    데이터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UDP 연결 과정

UDP 연결 그림

UDP는 최소한의 프로토콜 메커니즘으로 데이터그램을 신속히 전송하는 단순 요청-응답 모델을 구현하며, 이 과정에서 데이터그램 방식을 제공하여 패킷 순서가 바뀔 수 있습니다.

Reference

https://dev-coco.tistory.com/144

https://www.cloudflare.com/ko-kr/learning/ddos/glossary/user-datagram-protocol-u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