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트워크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란?

GearDeveloper 2024. 9. 10. 00:36
안녕하세요! 오늘은 네트워크 주소 변환(NAT) 기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NAT는 IPv4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대표적인 기술입니다. 이 기술을 통해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합니다. 그럼 오늘도 지식 공유 파이팅!

 

NAT란?

NAT는 말 그대로 네트워크 주소 변환입니다. NAT를 사용하는 예는 대표적으로 공유기가 있고, 우리가 공유기를 여러 컴퓨터가 함께 사용합니다. 공유기를 사용하는 컴퓨터가 3.3.3.3:80으로 접속할 때 컴퓨터는 NAT를 통해 IP/TCP를 변환시켜 접속하게 됩니다. NAT를 사용함으로써 여러 방면으로 활용됩니다.

NAT의 활용 과정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의 원리는 나의 사설 주소가 인터넷으로 접속하기 전에 공유기 걸쳐 사설 IP가 공인 IP 주소로 변환하여 인터넷에 접속하는 원리입니다. 해당 사진에서 나의 IP가 192.168.1.2라고 가정했을 경우 해당 사설 IP는 공유기를 향합니다.

 

 

그럼 해당 192.168.1.2에서 공인 IP인 3.3.3.3으로 주소가 변환되어 인터넷으로 접속하게 됩니다.

 

즉,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는 내부 네트워크의 사설 IP 주소(예: 192.168.1.2)를 공유기에서 공인 IP 주소(예: 3.3.3.3)로 변환하여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게 해주는 기술로, 이를 통해 IP 주소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내부 네트워크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공유기는 내부 디바이스의 사설 IP 주소(192.168.1.2)와 포트 번호를 기록한 변환 테이블 정보를 유지하며, 이후 응답 패킷이 돌아올 때 이 정보를 참조하여 올바른 내부 디바이스로 전달합니다.